작년 7월에 포스팅했던 「은행별 기업대출상품 검색 및 비교」를 이후 변경 사항 등을 반영하여 업데이트하였습니다.
최신 버전(2022.12.19자)의 파일을 다음과 같이 업로드하여 첨부했으니 참고하세요^^
<첨부>
첨부 파일은 기업이 은행에서 자금을 조달할 때 어떤 기업대출상품을 어떤 조건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지를 은행별로 비교한 자료입니다.
먼저 첨부 1번 파일의 첫번째 sheet는 다음과 같은 "은행별 기업대출상품 검색" 경로를 요약정리한 표입니다.
모든 은행을 대상으로 자료를 만들기에는 작업량이 방대해서 일부 은행은 포함하지 못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다음은 은행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업대출상품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정리한 Excel 자료입니다.
전체 내용은 첨부한 파일의 '은행별 기업대출상품 비교' sheet를 참조하세요^^
단, 은행들이 웹사이트에 게시한 기업대출상품들은 은행마다 명칭이 다르고, 같은 종류의 금융상품이라 할지라도 세부조건과 내용들이 은행마다 다소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감안하세요∼
위 슬라이드, "은행별 기업대출상품 비교"의 각종 기업대출상품 중 보편성·활용성 기준의 관점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들을 선별하여 분홍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분홍색으로 표시된 기업대출상품들에 대해서는 은행별 세부 대출조건을 비교하였는데, 다음은 그 중 하나(기업구매자금대출)를 예시한 슬라이드입니다.
첨부 Excel 파일에는 다음과 같은 구분 기준으로 총 25개의 기업대출상품의 세부 조건을 은행별로 비교하였습니다.
1.단기운영자금
▶일반대-운전전자금대출
▶일반대-수신담보대출
▶일반대-어음대출
▶한도대-기업종합통장대출
▶한도대-당좌대출
▶어음할인(할인어음)
▶전자방식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전자채권담보대출
▶기업구매자금대출(Off-line 방식 및 B2B금융 방식)
▶구매론
▶네트워크론
▶기업구매카드대출
▶판매론
▶팩토링
▶CP(기업어음증권),단기사채 인수
▶무역금융
▶수출환어음매입
▶포페이팅
▶수출팩토링
2.중장기자금
▶시설대
▶중장기운전자금
▶사모사채인수
3.기타
▶외화대출
▶지급보증
▶동산·채권담보대출
▶상생결제제도
여기에서 제시한 자료들은 현재 은행별 홈페이지의 기업대출상품 소개 내역을 기초로 작성한 것입니다.
각 은행들이 최신 변경내용을 아직 웹사이트 등에 반영하지 못한 상태일 수도 있습니다.
최신 내용을 정확하게 확인하고자 하시면, 거래하시는 은행 담당자에게 직접 문의, 상담하시기를 바랍니다^^
첨부한 자료들이 기업자금 조달시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4. 자금조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1월 공모 증권발행(회사채,IPO,유상증자) 상세내역 (0) | 2023.02.01 |
---|---|
2022년 공모 증권발행(회사채,IPO,유상증자) 상세내역 (0) | 2023.01.01 |
2022년 11월 공모 증권발행(회사채,IPO,유상증자) 상세내역 (0) | 2022.12.04 |
[Update] 대출금리 모범규준_2022.10.18 개정 (0) | 2022.11.07 |
2022년 10월 공모 증권발행(회사채,IPO,유상증자) 상세내역 (1) | 2022.11.01 |
이번에 신규로 고시되는 추가 14개국 통화는 캄보디아 등 아시아 6개 통화, 칠레 등 아메리카 2개 통화, 유럽의 루마니아 통화, 중동의 오만 통화, 케냐 등 아프리카 3개 통화, 오세아니아의 피지 통화입니다.
다음은 서울외국환중개의 2022.09.29자 환율 고시화면 캡쳐입니다.
신규 고시된 14개국 통화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음은 은행간환율, 매매기준율 및 대고객환율의 차이점을 설명하는 슬라이드입니다.
은행간 시장에서 형성되는 은행간환율이 도매환율에 해당된다면, 은행이 직접 개인이나 기업과 같은 고객과 거래하는 대고객환율은 소매환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대고객환율은 어느 시점의 은행간환율을 기준으로 해서 적정한 매입매도 스프레드를 가감해서 정해집니다.
은행들은 고객과의 외환거래에서 기준이 되는 환율을 고시하는데 이를 매매기준율이라고 합니다.
모든 은행들이 아침에 영업을 시작할 때 공동으로 적용하는 1회차 매매기준율은 서울외국환중개가 고시하는 매매기준율을 사용합니다.
서울외국환중개는 직전영업일에 미국 달러화(USD)와 중국 위안화(CNH)의 현물환 거래량을 가중평균한 것을 매매기준율로 고시합니다.
아울러 유로, 일본 엔화 등 55개 기타통화는 최근 국제금융시장에서 형성된 USD/기타통화 매매율을 재정해 기타통화의 매매기준율을 산출하여 고시합니다.
다음은 기준환율과 교차환율을 이용해 기타통화의 매매기준율을 계산하는 방식을 보여줍니다.
시중은행들은 이같은 매매기준율을 당일 아침의 1회차 매매기준율로 고시한 후, 이후 은행간시장에서 계속 변동되는 환율시세를 감안하여 하루애도 수십∼수백 차례 매매기준율을 변경해 재고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