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자금조달'에 해당되는 글 256건

  1. 2016.10.10 상장·공모제도 개편 방안_금융위원회_20161005
  2. 2016.10.05 2016년 9월 공모증권발행(회사채,IPO,유상증자) 상세내역
  3. 2016.10.04 중소기업진흥공단 정책자금 융자_1조원 증액(2016.09.26)
  4. 2016.09.05 2016년 8월 공모증권발행(회사채,IPO,유상증자) 상세내역
  5. 2016.08.15 2016년 7월 공모증권발행(회사채,IPO,유상증자) 상세내역
  6. 2016.07.14 회사채시장 인프라 개선 및 기업 자금조달 지원 방안_20160704_금융위원회
  7. 2016.07.12 벤처기업 자금조달 채널 다양화 방안_2016.07.07
  8. 2016.07.08 2016년 6월 공모증권발행(회사채,IPO,유상증자) 상세내역 1
  9. 2016.06.19 표준PF대출 주관금융기관 확대(2개→4개)|
  10. 2016.06.06 2016년 5월 공모증권발행(회사채,IPO,유상증자) 상세내역

금융위원회는 2016.10.05 보도자료 '역동적인 구축을 위한 상장·공모제도 개편 방안'을 공표하였습니다.

 

[보도자료] 1.역동적인 자본시장 구축을 위한 상장공모제도 개편 방안_금융위원회_20161005.hwp

[보도자료] 2.(첨부) 역동적인 자본시장 구축을 위한 상장공모제도 개편 방안_금융위원회_20161005.hwp

 

우리나라의 상장·공모제도가 혁신기업의 발굴과 자금공급 측면에서 아직도 미흡한 점이 많아, 앞으로 성장성 높은 기업이라면 이익미실현(적자) 상태일지라도 코스닥시장에 상장 가능하도록 금년 4분기 중에 제도를 개편, 보완할 예정입니다.


이익미실현기업(적자)기업일지라도 성장성에 대한 일정 요건을 갖추면 일반상장이 허용되고, 상장주관사의 추천만으로도 코스닥시장에 상장이 가능해질 예정입니다. 단, 이 경우 상장 후 일정기간 동안 투자자가 환매청구권(풋백옵션)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여 상장주관사의 책임도 따르게 됩니다. 이에 따라 코스닥시장 상장요건에 이익미실현기업의 상장요건을 추가하는 등 제도를 보완, 정비할 예정입니다.


한편, 상장주관사가 적극적으로 혁신기업들을 발굴하여 성장시킬 수 있도록 자율성과 인센티브를 부여합니다. 즉, 주식 발행가격을 정하기 위해 거치는 절차인 수요예측시 상장주관사가 참여기관을 자율적으로 선정하고, 상장주관사가 특례상장 추천기업에 대한 신주인수권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인센티브가 주어질 예정입니다.


개편 방안의 요지와 추진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보도자료를 통해 확인하세요.

 

 

 

 

 

 

 

Posted by financialist
,

2016년 9월 중 일반기업들의 회사채발행, 신규상장(IPO) 및 유상증자 상세내역을 작성한 엑셀파일을 첨부하였습니다.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에서 각 발행기업이 공시한 내용을 기초로 주요 내용을 발췌한 것입니다.

 

2016년 9월 증권발행(회사채,IPO,유상증자) 주요내역.xlsx

 

2013∼2015년도의 과거 발행분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Posted by financialist
,

중소기업진흥공단은 2016.09.26자로 「2016년 중소기업청 소관 중소기업 정책자금 융자계획(변경공고)」를 통해 금년도 지원액을 1조원 증액하였습니다.


중소기업진흥공단의 변경공고는 첨부 파일을 참조하세요.(변경내용은 노란 형광으로 표시하였습니다.)


<첨부>

20160926_2016년 중소기업청 소관 중소기업 정책자금 융자계획(변경공고)_중소기업진흥공단.hwp

 

 

따라서 2016년 총 지원규모는 기존 3조5,100억원에서 4조5,100억으로 증가하게 되었는데,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창업기업지원자금: +3,000억원 증가 (1조4,500억원→1조7,500억원)

-투융자복합금융: 변경 없음 (1,500억원)

-개발기술사업화자금: 변경 없음 (3,500억)

-신성장기반자금: +2,450억원 증가 (1조1,500억원→1조3,950억원)

-재도약지원자금: 변경 없음 (2,550억원)

-긴급경영안정자금: +4,550억원 (1,550억원→6,100억원)

=================================================

● 총액: +1조원 증가 (3조5,100억원→4조5,100억원)



지원규모 확대 사유 및 취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창업자금 확대: 예산소진으로 지원받지 못했던 창업기업(업력 7년 미만) 및 예비창업자를 위해 창업기업지원자금 3,000억원 확대지원

■ 시설투자자금 확대: 시설투자를 계획하고 있는 기업(업력 7년 이상)을 위해 신성장기반자금 2,450억원 확대지원

■ 긴급경영안정자금 확대: 정부의 산업구조조정 대상업종(조선,해운,철강,석유화학,건설 등) 관련 피해기업, 대기업 구조조정, 한진해운 법정관리에 따른 피해기업 및 경주 지진 피해기업 등을 지원하기 위해 4,550억원 확대지원



중소기업진흥공단 정책자금의 종류별 예산 및 융자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중소기업진흥공단 정책자금의 공통사항(공통조건) 및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중소기업진흥공단 정책자금의 융자제외 대상업종 및 융자제한 부채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첨부 자료 「2016년 중소기업청 소관 중소기업 정책자금 융자계획(변경공고)」의 별표 1, 2 입니다)

 

 

 

중소기업진흥공단 정책자금의 운용체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Posted by financialist
,

2016년 8월 중 일반기업들의 회사채발행, 신규상장(IPO) 및 유상증자 상세내역을 작성한 엑셀파일을 첨부하였습니다.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에서 각 발행기업이 공시한 내용을 기초로 주요 내용을 발췌한 것입니다.

 

2016년 8월 증권발행(회사채,IPO,유상증자) 주요내역.xlsx

 

2013∼2015년도의 과거 발행분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Posted by financialist
,

2016년 7월 중 일반기업들의 회사채발행, 신규상장(IPO) 및 유상증자 상세내역을 작성한 엑셀파일을 첨부하였습니다.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에서 각 발행기업이 공시한 내용을 기초로 주요 내용을 발췌한 것입니다.


2016년 7월 증권발행(회사채,IPO,유상증자) 주요내역.xlsx

2013∼2015년도의 과거 발행분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Posted by financialist
,

지난 2016.07.04 금융위원회가 「회사채시장 인프라 개선 및 기업 자금조달 지원 방안」을 발표하였습니다.

관련 보도자료와 내용을 요약정리한 ppt 파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20160704_(1)보도자료_회사채시장 인프라 개선 및 기업 자금조달 지원 방안_금융위원회.hwp

20160704_(2)별첨_회사채시장 인프라 개선 및 기업 자금조달 지원 방안_금융위원회.hwp

[요약] 회사채시장 인프라 개선 및 기업 자금조달 지원_20160704.pptx


 


근래 회사채시장이 양적으로는 확대되었으나 신용등급에 따라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었습니다.

AAA 및 AA 등급의 기업들은 회사채 발행이 원활하나, A등급 이하 중위험채권의 발행은 위축되고 있어 회사채시장 개선방안이 나온 것입니다.

개선 내용을 요약한 표입니다.


 

위의 개선 내용 중 일반 기업들이 관심을 가질 부분은 3. 다양한 자금조달수단 제공 및 4.중소/중견기업 회사채 발행지원에 관한 것입니다.


우선 자체신용으로는 회사채 발행이 쉽지 않은 기업들의 보유자산을 활용한 담보부사채 발행을 활성화하도록 하여 자금조달수단을 다양화할 예정입니다. 기존의 부동산을 담보로 하는 회사채에 국한하지 않고 매출채권, 지적재산권(IP) 등도 담보 범위에 포함하게 됩니다.


아울러 "회수관리회사" 를 도입하여 투자안정성을 높일 예정입니다. 즉, 담보부사채 발행기업이 원리금을 미상환할 경우 회수관리회사가 원리금의 일정부분(예: 80%)을 투자자에게 선지급하고, 담보물을 처분한 후 이자, 수수료 및 미지급원리금을 투자자와 사후정산하는 것입니다.



 


또한 지적재산권(IP)를 담보로 하는 채권도 발행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IP담보부채권을 발행하고자 하는 중소,벤처기업 등은 기술가치평가기관에서 가치평가를 받고, 이를 바탕으로 담보부사채를 발행하면 정책금융(산업은행,기업은행) 및 중소기업특화증권사* 등이 이를 직접 인수하는 방식입니다. [*2016.04.17 포스팅한 '중소기업 특화 금융투자회사(증권회사) 6개사 지정'을 참고하세요]


중소,중견기업은 상대적 저신용으로 인해 회사채 발행이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그동안 신용보증기금 등의 유동화보증(P-CBO*) 등을 통해 회사채를 발행해왔습니다. [*2016.04.17 포스팅한 'P-CBO를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회사채 발행' 참고하세요]


중소,중견기업의 회사채 발행을 촉진하기 위해 BBB∼A 등급의 중위험 회사채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책지원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 BB등급 이하 중소,중견기업 회사채: 「新 유동화보증 프로그램」으로 최대 1.4조원 지원

▷ BBB∼A 중소,중견기업 회사채: 「회사채 인수지원 프로그램」으로 2년간 최대 5천억원 지원


BB등급 이하 중소,중견기업 회사채는 1차적으로 신보에서 대상기업을 심사하여 후보군을 선정한 후, 신보, 증권회사 및 산업은행 등이 참여하여 최종 결정하게 됩니다. 선정된 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를  증권회사 등이 인수한 후 이를 유동화시키는 방법으로 자금을 조달하는데 이때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이 일부 제공됩니다. 기본 구조는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BBB ∼ A 등급의 중소,중견기업 발행 회사채는 별도의「회사채 인수지원 프로그램」으로 지원하게 됩니다.

선정된 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의 미매각채권을 총 발행규모의 일정범위(30%) 내에서 산업은행(SPC,유동회회사를 통해)이 인수하여 유동화시키는 방식입니다.

 

 


 

이번에 발표된 회사채시장 개선작업은 아래와 같은 일정으로 추진됩니다.

 

 


 

Posted by financialist
,

지난 2016.07.07 기획재정부가 투자활성화 대책을 발표하였고, 관련해서 중소기업청이 보도자료를 통해 벤처기업의 자금조달 채널 다양화 방안 등을 제시하였습니다.


20160707_[보도자료] 벤처투자 정책, 민간자본 중심으로 확 바뀐다_중소기업청.hwp


보도자료 내용 중 벤처투자 방식 및 벤처기업의 자금조달 채널 다양화 방안으로 제시된 내용만 간추려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교환사채(EB, Exchangeable Bond)를 벤처투자의 유형으로 인정


전환사채(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 이외에 교환사채도 벤처투자의 유형으로 인정하여 벤처투자 방식 다양화



2. Convertible Note 도입 검토


-Convertible Note는 전환사채(CB, Convertible Bond)와 유사하나, 주식으로 전환하는 전환가격을 사전에 정해놓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환가격이 정해져있는 CB와 차이

-Convertible Note의 전환가격은 발행 이후 다른 투자자(벤처캐피탈 등)의 후속투자시 산정하는 기업가치에 연동하도록 설정함

-따라서 기업가치 산정의 어려움을 완화하여 초기기업에 신속하게 투자를 유도

-미국 등에서는 초기기업 투자에 Convertible Note를 적극 활용 중



3. KSM(KRX Startup Market)시장 개설 추진


-크라우드펀딩 성공기업 등 창업기업의 주식을 투자자가 직접 거래할 수 있는 전용 장외시장인 KSM 개설 추진

-거래대상: 크라우드펀딩 성공기업, 창조경제혁신센터 및 정책금융기관(산업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한국성장금융 등) 추천기업 등

-거래방식: 증권회사 중개 없이 투자자간 직접 주식매매가 가능한 모바일 기반의 거래시스템

-KSM 기업 중 크라우드펀딩기업의 코넥스시장 상장특례 도입(지정자문인 일정기간 선임 유예 혜택)

Posted by financialist
,

2016년 6월 중 일반기업들의 회사채발행, 신규상장(IPO) 및 유상증자 상세내역을 작성한 엑셀파일을 첨부하였습니다.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에서 각 발행기업이 공시한 내용을 기초로 주요 내용을 발췌한 것입니다.


2016년 6월 증권발행(회사채,IPO,유상증자) 주요내역.xlsx

 

2013∼2015년도의 과거 발행분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Posted by financialist
,

2014년 6월 시행된 표준PF대출의 주관금융기관이 기존 2개(우리은행,NH농협은행)에서 NH농협손해보험KEB하나은행을 추가하여 총 4개로 확대되었습니다.


표준PF대출은 주택도시보증공사의 보증을 기초로 해서 특정 주관금융기관을 통해 조달하는 표준화된 PF(Project Finance)대출입니다. 부동산경기 활성화를 위해 공적기관이 보증을 제공함으로 인해 기존의 일반적인 PF대출보다 금리, 상환방식, 건설사의 연대보증 등에서 훨씬 유리한 조건입니다.

 

표준PF대출 (주택도시보증공사의 표준PF대출 보증).pptx

 

 

 

 

 

Posted by financialist
,

2016년 5월 중 일반기업들의 회사채발행, 신규상장(IPO) 및 유상증자 상세내역을 작성한 엑셀파일을 첨부하였습니다.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에서 각 발행기업이 공시한 내용을 기초로 주요 내용을 발췌한 것입니다.

 

2016년 5월 증권발행(회사채,IPO,유상증자) 주요내역.xlsx

2013∼2015년도의 과거 발행분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Posted by financialist
,